본문 바로가기
취업정보

중소기업은행( IBK기업은행) 평균연봉 및 직급별 연봉, 신입사원 초봉 최근이슈

by 이슈요정 콩순 2025. 4. 28.
반응형
반응형

1. 설립 배경

중소기업은행(IBK기업은행)은 대한민국 경제 성장 초기, 국가 산업 기반을 확립하고 경제 발전을 가속화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1950년대 한국전쟁 이후, 대한민국은 심각한 경제난에 직면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산업화 정책을 적극 추진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특히 중소기업의 육성이 국가 경제 발전의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었습니다.

그러나 당시 국내 금융기관들은 대기업 위주의 자금 지원을 주로 했고, 중소기업은 신용도가 낮다는 이유로 필요한 자금을 원활히 공급받지 못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중소기업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을 이끌기 위해 전문적인 중소기업 금융기관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됩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중소기업을 위한 금융 지원 전문기관으로 설립된 것이 바로 중소기업은행입니다.
은행 설립의 최우선 목적은 중소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 확대, 경영 안정 지원, 기술 개발 촉진을 통해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있었습니다.

2. 설립 연도 및 기본 정보

  • 설립일 : 1961년 8월 1일
  • 법적 근거 : 「중소기업은행법」 (1961년 5월 12일 제정)
  • 본점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2가 50 (IBK기업은행 본점 빌딩)
  • 기업 형태 : 특수은행 (국책은행)
  • 주요 주주 : 대한민국 정부가 최대 주주(50% 이상)로, 국가 주도로 운영되고 있음.

3. 주요 업무 및 역할

중소기업은행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음과 같은 주요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1) 중소기업 금융 지원

중소기업에 대한 운전자금, 시설자금, 창업자금 대출 등을 중점적으로 취급합니다.
특히 중소기업의 자금난 해소를 위해 타 은행보다 낮은 금리와 유연한 심사기준을 적용하기도 합니다.

또한, 경기침체나 글로벌 금융위기 등 외부 경제 충격 시기에는 중소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돕기 위해 적극적인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습니다.

2) 개인금융 및 리테일 사업

기업은행은 중소기업 임직원, 개인 사업자뿐만 아니라 일반 개인 고객을 위한 다양한 금융 상품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금, 적금, 신용대출, 주택담보대출 등 개인 대상 금융 상품뿐만 아니라, 카드사업,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 서비스도 활발히 운영하고 있습니다.

3) 해외진출 지원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려는 중소기업을 위해 해외지점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해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외 지사망은 미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지역 등에 걸쳐 있으며, 현지 진출 기업을 위한 대출, 환전, 컨설팅 서비스 등을 지원합니다.

4) 혁신금융 및 스타트업 지원

최근 들어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여, 스타트업, 벤처기업, 혁신기업 등에 대한 모험자본 투자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IBK 창공(創工)이라는 스타트업 육성 플랫폼을 운영하면서 초기 기업에 자금과 경영 지원을 함께 제공하는 등 기존의 단순한 대출 중심 금융 지원을 넘어선 혁신적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5) ESG 경영 및 사회공헌 활동

기업은행은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 측면에서도 지속가능한 경영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탄소중립 캠페인, 사회적 금융 활성화, 취약계층 지원 등 다양한 사회공헌활동도 적극 전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청년 창업 지원, 사회적 기업 후원 등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4. 조직 및 특성

  • 정부 출자기관으로서의 신뢰성 : 기업은행은 대한민국 정부가 지분의 절반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특수은행입니다. 이에 따라 민간은행과 달리 국가 정책과 연계된 금융 지원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정부 정책금융의 일환으로 중소기업 지원을 수행합니다.
  • 자율성과 전문성 : 공기업적 성격을 가지면서도, 민간은행 수준의 경영 자율성과 금융 서비스 전문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습니다.
  • 건전한 재무구조 : 상대적으로 높은 BIS비율과 건전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국내외 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반응형

1. 신입사원 초봉

 

중소기업은행의 2024년 예산 기준 신입사원 초봉은 54,659천원 입니다.



신입사원 초봉(출처:알리오)

기본급 30,807천원, 고정수당 15,403원, 실적수당 2,894천원, 급여성 복리후생비 403천원, 성과상여금 5,137원, 경영평가 성과급 0원, 기타 0원 입니다.

 

 

2. 직급별 평균연봉

 

중소기업은행의 직급별 평균연봉을 알아보겠습니다.


직급별 연봉(출처:사람인)

취업포털 사이트 사람인의 자료를 보면 사원(고졸) 4,855만원, 사원(대졸 4년) 5,469만원, 주임 6,222만원, 대리 7,246만원, 과장 8,341만원, 차장 9,232만원, 부장 10,228만원 입니다.

 

 

반응형

3. 평균연봉

 

중소기업은행의 2024년 예산기준 평균연봉은 102,519천원 입니다.


평균연봉(출처:알리오)

기본급 52,355천원, 고정수당 31,381천원, 실적수당 6,104천원, 급여성 복리후생비 647천원, 성과상여금 9,972천원, 경영평가 성과급 0천원, 기타 60천원으로 일반정규직의 1인당 평균 보수액은 102,519천원 입니다.

남녀직원의 평균임금 비율은 남성 53,14%(108,230천원), 여성 46.86%(95,424천원) 입니다. 평균근속연수는 남성 225개월, 여성 197개월 입니다.

 

 

무기계약직의 평균연봉을 알아보겠습니다.



무기계약직 평균연봉(출처:알리오)

기본급 35,297천원, 고정수당 16,531원, 실적수당 4,513천원, 급여성 복리후생비 736천원, 성과상여금 5,278천원, 경영평가 성과급 0천원, 기타 26천원으로 무기계약직의 1인당 평균 보수액은 62381천원 입니다.

남녀직원의 평균임금 비율은 남성 49.34%(61,030천원), 여성 50.66%(62,663천원) 입니다. 평균근속연수는 남성 129개월, 여성 175개월 입니다.

 

 

취업포털 사이트 사람인에서 공개한 평균연봉을 보겠습니다.

평균연봉(출처:사람인)

중소기업은행 전체 평균 연봉은 8,490만원으로 2023년 동종 업종 평균대비 33.93% 높은수준입니다.

 

이상으로 중소기업은행의 신입사원 초봉, 직급별 평균연봉, 평균연봉을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 최근 논란 이슈 +

 

IBK기업은행은 대한민국 중소기업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된 특수은행으로, 오랜 시간 동안 비교적 안정적이고 신뢰받는 이미지를 유지해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다양한 사회적, 금융적 변화 속에서 몇 가지 크고 작은 논란에 휘말렸습니다.
이러한 논란은 공공기관으로서의 역할과 민간기업과의 경계선, 내부 관리 문제 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1) 내부 직원 횡령 사건 (2021~2022)

사건 개요
2021년부터 2022년 초까지, IBK기업은행 내부 직원이 거액을 횡령한 사건이 발생해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서울 시내 한 영업점에서 근무하던 직원이 고객의 자금을 무단으로 인출하거나, 허위 대출 서류를 작성해 수십억 원대의 자금을 횡령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문제점

  • 내부 통제 시스템 부실
  • 관리자의 부적절한 감시 및 리스크 관리 실패
  • 자금 이동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미비

사회적 반응
공공기관 성격을 가진 은행에서 횡령 사건이 발생했다는 사실에 국민들의 신뢰가 크게 흔들렸습니다.
특히 "국민 세금과 연계된 은행이 이렇게 허술해도 되는가"라는 비판 여론이 거셌습니다.

 

은행 대응
기업은행은 신속히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내부 통제 시스템을 강화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예를 들어, 대출 심사 과정을 강화하고, 자금 이동 관련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재정비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습니다.

2) 비정규직 차별 문제

사건 개요
기업은행은 과거부터 비정규직(계약직, 파견직) 근로자에 대한 차별 대우 문제로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특히 2022~2023년, 정규직 전환 과정에서 일부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소외되거나, 정규직 전환 후에도 임금 및 복지 차별을 겪는 사례가 언론에 보도되었습니다.

 

주요 이슈

  •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
  • 승진, 복지 혜택에서의 차별
  • 정규직 전환 심사 기준 불투명성

사회적 반응
공공기관으로서 모범이 되어야 할 기업은행이 노동권 보호에 소홀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습니다.
노동단체와 인권단체들은 "공공기관 내 갑질과 차별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은행 대응
IBK는 '공정 채용 및 인사혁신'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하고, 비정규직 근로자 처우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평가가 여전히 많습니다.

3) 고위직 인사 논란

사건 개요
2023년, 일부 고위 임원 인사가 정치적 코드에 맞춰 이루어졌다는 논란이 일었습니다.
특히 행장(행장 후보) 선임과 관련하여 정부 및 정치권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습니다.

 

주요 문제점

  • 행장 선출 과정의 투명성 부족
  • 외부 정치적 영향력 개입 우려
  • 전문성보다 정치적 친분이 우선시된다는 비판

사회적 반응
"은행의 자율성과 독립성이 심각하게 훼손된다"는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
특히 금융감독원과 정부 관련 부처의 입김이 지나치게 작용하는 관행에 대해 금융계 전반의 비판이 따랐습니다.

은행 대응
기업은행은 "적법한 절차에 따라 임원 선임을 했다"고 해명했지만,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았습니다.

4) 디지털 보안 사고 및 개인정보 유출 우려

사건 개요
2022~2023년 중, 일부 기업뱅킹 사용자 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뻔한 사례가 발견되면서 디지털 보안에 대한 우려가 커졌습니다.

 

주요 이슈

  • 모바일 앱과 인터넷뱅킹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
  • 외부 해킹 시도에 대한 대응 미비
  • 고객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불신 증대

사회적 반응
디지털 금융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국민들은 "공공은행조차 개인정보 관리에 실패하면 금융권 전체가 위험해진다"고 우려했습니다.

 

은행 대응
기업은행은 디지털 보안 강화 대책을 발표하며, AI 기반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 도입, 앱 보안 강화, 고객 인증 프로세스 개선 등을 약속했습니다.

5) 중소기업 금융 지원 역행 논란

사건 개요
일부 중소기업들은 IBK기업은행이 최근 수익성 위주의 대출 심사를 강화하면서 정작 '중소기업 지원'이라는 설립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비판했습니다.

 

주요 문제점

  • 대출 심사 기준 강화로 자금 조달 어려움
  • 일부 중소기업의 구조조정 압박
  • 신생 중소기업보다는 안정성 높은 중견기업 위주 대출 확대

사회적 반응
"수익성과 안정성만 좇는다면 기업은행의 존재 이유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
특히 청년 창업 기업, 소상공인들은 대출 문턱이 높아져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은행 대응
기업은행은 중소기업 맞춤형 금융상품 개발, 특별자금 공급, 대출 심사 유연화 등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실제 체감 효과는 다소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있습니다.


최근 IBK기업은행을 둘러싼 논란은 단순한 개별 사건에 그치지 않고,
내부 통제 시스템 부실, 공공성 훼손 우려, 사회적 책임 수행 미흡이라는 구조적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이에 따라 향후 기업은행은 ▲내부 관리 체계 강화 ▲공정한 인사 시스템 구축 ▲디지털 보안 혁신 ▲중소기업 지원 본연의 역할 강화 등을 통해 국민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5.04.26 - [취업정보] - 기술보증기금 평균연봉 및 직급별 연봉, 신입사원 초봉 최근이슈

 

기술보증기금 평균연봉 및 직급별 연봉, 신입사원 초봉 최근이슈

기술보증기금(기보, KIBO) 소개1. 설립 배경과 목적1980년대 초, 한국은 산업 고도화와 경제 발전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기술 기반 기업들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었습니다. 특히, 우수한 기술을

vvv010101.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