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정보

에너지경제연구원 평균연봉 및 직급별 연봉, 신입사원 초봉 최근이슈

by 이슈요정 콩순 2025. 4. 26.
반응형
반응형

에너지경제연구원은 대한민국 정부가 에너지 및 경제 정책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한 국책 연구기관입니다.설립연도는 1986년입니다. 1980년대 초반, 세계 에너지 시장의 급변과 국내 에너지 수급 문제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커지면서 정부 주도로 설립되었습니다.
초기에는 에너지 수급 및 가격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연구 영역이 훨씬 넓어졌습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가 에너지 정책 연구 및 자문: 에너지 수급, 신재생에너지, 탄소중립, 에너지 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부 정책을 연구하고, 필요한 경우 정책 제안과 조언을 제공합니다.
  • 에너지 시장 분석 및 전망: 국내외 에너지 시장 동향을 분석하고, 중장기 에너지 수급 전망을 발표하여 정부와 기업, 일반 국민이 에너지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을 줍니다.
  • 경제성 평가 및 기술 분석: 새로운 에너지 기술(예: 수소, 탄소포집저장(CCS) 기술 등)의 경제성 분석과 상용화 가능성 연구도 진행합니다.
  • 국제 에너지 협력 지원: 국제기구 및 해외 연구기관과 협력하여 에너지 관련 국제 이슈에 대응하고, 한국의 에너지 정책 경험을 해외에 전파하는 역할도 맡고 있습니다.
  • 사회적 이슈 연구: 최근에는 에너지 전환(탈석탄, 재생에너지 확대)과 같은 이슈가 사회·경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공정한 에너지 전환(Just Transition) 전략을 제시하는 데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년 발간하는 '에너지 경제 전망', '국가 에너지 통계' 등은 국내 에너지 정책 결정과 산업계 전략 수립에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됩니다.
본원은 울산광역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울과 세종시에 별도의 사무소를 운영해 정책 지원 업무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요약하면, 에너지경제연구원은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미래를 설계하고, 에너지와 경제를 연결하는 종합 연구를 수행하는 중추적 기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1. 신입사원 초봉

 

에너지경제연구원의 2024년 예산 기준 신입사원 초봉은 49,477천원 입니다.


신입사원 초봉 (출처:알리오)

 

기본급 31,042천원, 고정수당 1,560원, 실적수당 0천원, 급여성 복리후생비 900천원, 성과상여금 15,975천원, 경영평가 성과급 0천원, 기타 0천원 입니다.

 

 

2. 연도별 평균연봉

 

에너지경제연구원 의 연도별 평균연봉을 알아보겠습니다.



직급별 연봉(출처:잡코리아)

취업포털 사이트 잡코리아의 자료를 보면 2019년도 7,624만원, 2020년도 7,936만원, 2021년도 7,943만원, 2022년도 7,913만원, 2023년도 8,044만원입니다. 이 기업의 최근 평균연봉은 동종업계 평균보다 19% 높습니다.

 

3. 평균연봉

 

에너지경제연구원의 2024년 예산기준 평균연봉은 93,529천원 입니다.



평균연봉(출처:알리오)

기본급 58,988천원, 고정수당 4,093천원, 실적수당 0천원, 급여성 복리후생비 1,772천원, 성과상여금 28,645천원, 경영평가 성과급 0천원, 기타 0천원으로 일반정규직의 1인당 평균 보수액은 93,529천원 입니다.

남녀직원의 평균임금 비율은 남성 56.54%(99,477천원), 여성 43.46%(76,467천원) 입니다. 평균근속연수는 남성 155.70개월, 여성 140.62개월 입니다.

 

 

무기계약직의 평균연봉을 알아보겠습니다.

 

무기계약직 평균연봉(출처:알리오)

기본급 34,155천원, 고정수당 1,867원, 실적수당 366천원, 급여성 복리후생비 1,450천원, 성과상여금 8,899천원, 경영평가 성과급 0천원, 기타 38천원으로 무기계약직의 1인당 평균 보수액은 34,155천원 입니다.

남녀직원의 평균임금 비율은 남성 53.34%(51,374천원), 여성 46.66%(44,947천원) 입니다. 평균근속연수는 남성 59.64개월, 여성 72.11개월 입니다.

 

취업포털 사이트 잡코리아에서 공개한 평균연봉을 보겠습니다.

 

평균연봉(출처:잡코리아)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전체 평균 연봉은 8,044만원(정규직 9,365만원, 무기계약직 4,636만원)으로 월 실수령액은 5,438,010원 입니다.

 

이상으로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신입사원 초봉, 직급별 평균연봉, 평균연봉을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 최근 논란 이슈 +

 

 

에너지경제연구원(KEEI)의 최근 주요 이슈와 활동(2024~2025년 기준)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최근 몇 년 동안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 글로벌 에너지 시장 불안정, 그리고 국가 에너지 안보 강화라는 키워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을 앞두고 한국 정부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정·보완하면서 연구원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1. 탄소중립(Net-Zero) 정책 지원
    에너지경제연구원은 대한민국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구체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재설정을 위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전력, 산업, 수송, 건물 등 주요 부문별 감축 로드맵을 작성하고, 이 과정에서 비용 대비 효과성, 산업경쟁력 저하 방지, 사회적 수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전환 비용'을 국민들이 수용할 수 있도록 사회적 대화방식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기요금 인상 문제와, 이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예: 에너지복지 프로그램 확대)도 주요 연구 주제입니다.

  1. 에너지 안보 강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과 중동 불안정 등으로 국제 에너지 시장이 불안정해지면서, '에너지 안보'가 국가 차원의 최우선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석유·가스·원자력 등 주요 에너지원의 안정적 확보 전략을 연구하고 있으며, LNG(액화천연가스) 장기 계약 확대, 전략 비축시설 운영 최적화, 재생에너지+저장장치(ESS) 조합 확대 등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과 유럽의 에너지 정책 변화(예: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한국 기업들의 대응전략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1. 수소경제 활성화 및 에너지 신산업 연구
    수소는 한국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 에너지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청정수소(그린수소·블루수소) 생산과 수입, 유통망 구축, 활용 분야(수소발전·수소차·수소선박) 전반에 대한 전략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특히 2024년에는 '수소안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며, 해외 수소 수입선 다변화 전략(호주, 중동, 캐나다 등)과 국내 생산기반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1. 에너지 복지와 공정 전환(Just Transition)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취약계층이 소외되지 않도록 하는 '공정 전환'이 최근 큰 이슈입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석탄발전소 조기 폐쇄에 따른 지역경제 충격 완화 방안, 일자리 전환 지원, 에너지 가격 인상에 따른 취약계층 보호대책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빈곤층'에 대한 정밀 데이터 구축과 지원정책 설계 연구도 병행하여, 에너지 전환이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1. 디지털 전환과 에너지 데이터 활용
    스마트그리드, AI 기반 에너지 수요관리, 탄소 배출량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등 디지털 기술을 에너지 분야에 접목하는 연구도 활발합니다.
    특히,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해 최적의 에너지 효율 전략을 제시하는 '디지털 에너지 플랫폼' 구축 연구가 주요 과제 중 하나입니다.
  2. 국제협력 강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 협력이 중요해지면서, 에너지경제연구원은 IEA(국제에너지기구), IRENA(국제재생에너지기구) 등과 협력 연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한 에너지 정책 컨설팅, 탄소중립 전략 공유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있어, 한국의 에너지 정책 모델을 글로벌 스탠다드로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지금 "탄소중립 달성", "에너지 안보 강화", "수소경제 활성화", "공정한 에너지 전환"이라는 네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연구와 정책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 모든 활동은 한국이 세계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돕는 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