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설립 배경
20세기 후반부터 과학기술은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으며,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하고 우수한 과학기술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한국 또한 산업화와 정보화를 거치며 과학기술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했고, 이와 함께 인력 개발의 필요성도 커졌습니다.
그러나 당시 우리나라는 과학기술 인력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이 미비했고, 연구자들의 전문성과 역량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했습니다. 특히 정부출연연구기관 및 공공기관, 대학 연구자들이 연구 외의 역량, 즉 연구윤리, 기술사업화, 리더십 등 다양한 영역에서 지속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제한적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국가 차원에서 과학기술 인력의 전문성 제고와 지속적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한 교육 전문기관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이 설립되었습니다.
2. 설립 연도 및 발전 과정
KIRD는 2001년 3월 1일, 과학기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주도로 설립되었습니다. 당시 기관명은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센터’였으며, 초기에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산하 조직으로 운영되었습니다. 이후 점차 규모와 역할이 확대되면서 2006년 12월에는 독립적인 기관으로 분리되어 지금의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으로 개편되었습니다.
현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준정부기관으로서, 정부 정책에 기반한 과학기술 인재 양성 및 역량 개발 정책을 실행하고 있으며, 대전 유성구에 본원을 두고 전국의 과학기술 인력과 기관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3. 주요 기능 및 역할
KIRD는 과학기술 분야 인재의 성장 전주기를 지원하며, 다음과 같은 주요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1) 과학기술 인재 역량 개발 교육
KIRD는 다양한 연구기관, 대학, 기업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합니다. 교육 영역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 기초 연구역량: 연구방법론, 논문작성법, 특허 등
- 연구윤리 및 책임 있는 연구 수행(RCR): 부정행위 방지, 연구윤리 교육 의무화
- 리더십·관리역량: 연구책임자 리더십, 연구성과관리, 조직운영 역량
- 기술사업화 및 정책 이해: 기술이전, 사업화 전략, 국가 R&D 정책
이러한 교육은 대면교육, 온라인 강의, 실습 중심 과정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연간 수만 명의 과학기술인이 이수하고 있습니다.
2) 과학기술 인재 정책 연구 및 지원
KIRD는 교육기관임과 동시에 정책연구 기능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가의 과학기술 인재 수급 예측, 역량 개발 로드맵 수립, 인재정책 개선 방안 등을 연구하며, 정부의 과학기술 인재 관련 정책 수립을 지원합니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수립하는 중장기 인력개발 계획,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정책, 청년과학기술인 진입 촉진 등의 사업에도 실무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3) 연구윤리 및 문화 확산
최근 연구 부정행위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이 높아짐에 따라, KIRD는 책임 있는 연구문화 정착을 위한 교육과 캠페인, 연구윤리 콘텐츠 개발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습니다. 연구윤리 교육은 정부출연연, 대학, 병원 등에서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과정으로 자리잡았으며, 그 표준 교재와 커리큘럼을 KIRD가 주도적으로 개발해 보급하고 있습니다.
4) 국제 협력 및 해외 인재 교류
KIRD는 국내 과학기술 인재뿐 아니라 해외 과학기술 인력과의 교류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세계 주요 과학기술 교육기관과 협력하여 국제 워크숍, 세미나, 연수과정 등을 운영하며, 해외 석학 및 전문가 초빙 교육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5) 지역 기반 과학기술 인력 육성
수도권 중심의 인재개발 한계를 극복하고자, KIRD는 지역 거점 대학 및 출연연과 협력하여 지역 과학기술 인력에 대한 교육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국 균형 발전과 지역 R&D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은 설립 이래 2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우리나라 과학기술 인재의 성장을 위한 핵심기관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급변하는 기술 환경과 4차 산업혁명의 도래, 글로벌 R&D 경쟁의 심화 속에서 인재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KIRD는 이에 맞춰 선도적인 교육 콘텐츠 개발과 혁신적인 학습 체계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KIRD는 ‘인재가 곧 국력’이라는 원칙 아래, 과학기술 인재가 평생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윤리적이며 창의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1. 신입사원 초봉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의 2025년 예산 기준 신입사원 초봉은 29,015천원 입니다.

기본급 24,515천원, 고정수당 4,080원, 실적수당 0천원, 급여성 복리후생비 420천원, 성과상여금 0원, 경영평가 성과급 0원, 기타 0원 입니다.
2. 직급별 평균연봉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의 직급별 평균연봉을 알아보겠습니다.

취업포털 사이트 사람인의 자료를 보면 사원(고졸) 4,032만원, 사원(대졸 4년) 4,364만원, 주임 4,741만원, 대리 5,466만원, 과장 6,216만원, 차장 7,058만원, 부장 8,149만원 입니다.
3. 평균연봉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의 2025년 예산기준 평균연봉은 74,562천원 입니다.

기본급 59,595천원, 고정수당 6,207천원, 실적수당 1,127천원, 급여성 복리후생비 1,864천원, 성과상여금 5,767천원, 경영평가 성과급 0천원, 기타 0천원으로 일반정규직의 1인당 평균 보수액은 74,562천원 입니다.
남녀직원의 평균임금 비율은 남성 53.48%(79,235천원), 여성 46.52%(68,928천원) 입니다. 평균근속연수는 남성 108개월, 여성 93개월 입니다.
무기계약직의 평균연봉을 알아보겠습니다.

기본급 55,225천원, 고정수당 4,314원, 실적수당 7,490천원, 급여성 복리후생비 2,046천원, 성과상여금 1,206천원, 경영평가 성과급 0천원, 기타 0천원으로 무기계약직의 1인당 평균 보수액은 70,283천원 입니다.
남녀직원의 평균임금 비율은 남성 52.25%(72,249천원), 여성 47.75(66,023천원) 입니다. 평균근속연수는 남성 105개월, 여성 91개월 입니다.
취업포털 사이트 잡코리아에서 공개한 평균연봉을 보겠습니다.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의 전체 평균 연봉은 6,965만원(정규직 6,996만원, 무기계약직 6,673만원)으로 월 실수령액은 4,815,870원 입니다.
이상으로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의 신입사원 초봉, 직급별 평균연봉, 평균연봉을 알아보았습니다.
+ 최근 논란 이슈 +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은 대한민국 과학기술 인재의 역량 개발과 연구윤리 확산을 위한 핵심 기관으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사이 일부 논란과 이슈가 제기되었으며, 이에 대한 기관의 대응과 개선 노력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1. 외부 활동수당 징수 및 사용 논란
2023년 초,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이 직원들의 외부 활동수당 중 일부를 강제로 징수하여 조성된 자금을 직원 의복 구입 및 기타 용도로 사용했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공공기관의 예산 운영과 관련하여 부적절하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이에 대해 해당 기관은 반론보도를 통해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음을 해명하고, 관련 절차의 투명성과 적절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2. 연구윤리 교육의 의무화 및 이수 인증 문제
KIRD는 연구자의 윤리의식 향상을 위해 연구윤리 교육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이를 이수한 연구자에게 수료증을 발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대학원생과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교육 내용의 실효성과 이수 과정의 번거로움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었습니다. 특히, 교육 이수 시간이 길고, 수료증 발급 절차가 복잡하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이에 대해 KIRD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개선하고, 교육 콘텐츠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3. 채용 및 근무 환경에 대한 내부 의견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인 블라인드와 잡플래닛 등에서는 KIRD의 채용 과정과 근무 환경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공유되고 있습니다. 일부 지원자들은 채용 과정에서의 정보 부족과 불투명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으며, 재직자들 중에서는 워라밸(Work-Life Balance)이 좋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승진 기회의 제한성과 경영진과의 소통 부족에 대한 아쉬움을 나타내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4.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접근성 확대
KIRD는 과학기술 인재의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연구자의 소통 역량 향상을 위한 '연구자 저널리스트 과정'을 신설하여, 연구 성과를 국민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기반의 미래형 교육환경 구현을 위해 메타버스, 생성형 AI 등 최신 기술을 접목한 에듀테크를 도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공간의 제약을 뛰어넘는 최적의 교육환경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5. 지역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협력 강화
KIRD는 지역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해 지자체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충청북도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도내 과학기술 인력양성을 위한 공동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 과학기술 생태계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은 과학기술 인재의 역량 개발과 연구윤리 확산을 위한 핵심 기관으로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정책을 통해 국가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 제기된 일부 논란과 이슈에 대해서는 기관 차원의 해명과 개선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투명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한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됩니다.
2025.05.01 - [취업정보] - 한국세라믹기술원 평균연봉 및 직급별 연봉, 신입사원 초봉 최근이슈
한국세라믹기술원 평균연봉 및 직급별 연봉, 신입사원 초봉 최근이슈
한국세라믹기술원(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and Technology, 약칭 KICET)은 우리나라의 첨단 세라믹 산업 발전을 지원하고, 관련 기술 개발 및 산업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설립된 공공 연구기관입
vvv010101.tistory.com
'취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공항공사 평균연봉 및 직급별 연봉, 신입사원 초봉 최근이슈 (2) | 2025.05.01 |
---|---|
한국수자원공사 평균연봉 및 직급별 연봉, 신입사원 초봉 최근이슈 (2) | 2025.05.01 |
한국세라믹기술원 평균연봉 및 직급별 연봉, 신입사원 초봉 최근이슈 (2) | 2025.05.01 |
부산항만공사 평균연봉 및 직급별 연봉, 신입사원 초봉 최근이슈 (1) | 2025.04.30 |
한국지역난방공사 평균연봉 및 직급별 연봉, 신입사원 초봉 최근이슈 (0) | 2025.04.30 |